1.21사태
1·21 사태는 1968년1월21일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소속의 군인 31명이 대한민국의 청와대를 기습하려던 사건이다. 당시 유일하게 생포되었던 김신조의 이름을 따서 김신조 사건이라고도 한다
이 사건은 1968년1월13일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민족보위성 정찰국의 124부대 소속 31명이 조선인민군 정찰국장인 김정태로부터 청와대 습격과 요인 암살 지령을 받아, 대한민국 국군의 복장과 수류탄 및 기관단총으로 무장하고, 1월17일 자정을 기해 휴전선 군사분계선을 넘어 야간을 이용하여 대한민국 수도권에 잠입하였다.
이들은 청운동의 세검정고개의 창의문을 통과하려다 비상근무 중이던 경찰의 불심검문으로 정체가 드러나자, 수류탄 및 기관단총을 쏘면서 저항하였다.
대한민국 군·경은 비상경계태세를 확립하고 현장으로 출동하여 소탕 작전을 벌였으며, 경기도 일원에 걸쳐 군경합동수색전을 1월31일까지 전개하였다.
현장에서 비상근무를 지휘하던 종로경찰서장 최규식 총경은 총탄에 맞아 사망하였고, 124부대 소속 31명 중 29명이 사살되고 김신조는 투항하였으며, 한 명은 도주하여 북으로 넘어갔다.
도주한 이는 조선인민군 대장인 박재경 총정치국 부총국장을 역임한 인물로 2000년, 2007년에 방한하여 송이버섯을 선물하기도 했다.
시도는 미수에 그쳤으나, 이 사건 이후에 남-북 간의 군사적 긴장관계를 이유로 하여, 박정희는 ‘국가안보 우선주의’를 선언하였다.
안보우선주의는 노동조합과 민주화 운동을 탄압하는 근거가 되었으며, 대한민국 예비군이 창설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대한민국은 특수부대인 684부대를 비밀리에 조직하여 보복성 공격을 계획하였으나, 남-북의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자, 무산되었다.
김일성은 1972년 7,4남북 공동 성명으로, 평양을 방문한 이후락 전 대한민국 중앙정보부장과의 오찬 자리에서 1·21 청와대 기습 사건에 대해 자신은 아는 바가 없었다고 말하였으나, 김신조는 북한의 상투적 수법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1·21사태도 북한 김정일이 나중에 시인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북한은 도발을 저지르고 난 뒤 설사 나중에 사과하는 일이 있더라도 일단 거짓말부터 하는 일을 반복해왔는데 남한의 일부 친북단체와 정치인들이 여기에 맞장구를 치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꼬집었다.
한편 2013년 10월 24일 평화문제연구소 창립 30주년 기념식에서 청샤오허(成曉河) 중국 인민대학 교수에 의해 김일성은 1965년에 제2차 한국 전쟁을 계획했지만 중국이 거부했다는 중국 외교부 기밀해제 문서(No.106-01480-07)가 공개되었다.
-위키백과 자료인용
실미도사건 [實尾島事件]
실미도는 인천에서 20km 떨어진 곳에 있는 작은 무인도로, 1968년 당시 중앙정보부가 북파공작원을 양성시키기 위한 특수부대를 만들었던 곳.
1968년 1월 21일 밤10시경, 북한특수부대 124군 소속 31명이 청와대를 습격하기 위해 서울 세검정까지 침입하였다.
이들 공비들은 우리 군경과의 격렬한 전투 끝에 공비 30명이 사살되었고, 이들 중 생포된 김신조는 "박정희, 목따러 왔수다."라고 말해 TV를 지켜보던 국민들을 아연실색하게 만들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당시 박정희 정부는 4월 1일부터 향토예비군을 창설하였으며, 북에 대한 보복으로 평양의 주석궁을 습격하기로 하고 31명의 청년을 불러 모았다.
이들이 격리ㆍ수용되어 지옥 훈련을 받았던 곳이 인천 앞바다의 외딴 섬 실미도이다.
실미도 부대(정식 명칭은 '2325 전대 209 파견대'로 1968년 4월에 창설됐다고 해서 '684부대'로 불리기도 함)는 전과자와 민간인으로 꾸려졌으며, 3년여 동안 가혹한 훈련과 비인간적인 대우를 받았다.
그러나 3년 4개월 동안 출동 명령만을 기다리다가 1970년대 초 남북화해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북파 임무가 취소됐으며, 이들의 존재가 외부에 공개될 것을 우려한 정부는 기간병들에게 모두 사살하라는 명령을 내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당시 같은 부대에 있던 기간병 24명 가운데 18명이 훈련병들에 의해 살해당했으며, 훈련 중 사망한 7명을 제외한 훈련병 24명은 인천 독배부리 해안에 상륙한 뒤 시내버스를 빼앗아 서울로 향하였다.
그러나 총격전 끝에 대부분의 부대원이 수류탄을 터뜨려 자살을 하였고 4명만이 생존하였다.
생존자 4명도 1972년 3월 사형당했다.
정부는 이 사건을 북한 무장간첩이 서울을 침입하여 군인들 간의 교전 끝에 이들을 사살한 북한 소행의 '실미도 난동사건'으로 발표, 30여 년간 베일에 싸여 있었다.
북한특수부대의 존재를 최초로 확인시켜 준 이 사건은 1999년 백동호의 장편소설 <실미도>가 출판되고 그해 연말 SBS 시사/교양 프로그램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다루어지면서 세상에 드러나게 되었다.
한편 이를 바탕으로 한 강우석 감독의 영화 <실미도>가 2003년 12월 개봉 한국 최초 1000만 관객 동원이라는 기록을 세워 흥행에 크게 성공하였으며, 영화 상영을 계기로 실미도사건이 국민적 관심사로 부각되었다.
이에 2004년 열린우리당은 실미도사건 희생자 문제에 대한 진상 규명과 명예 회복 등을 위한 ‘실미도사건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하였다.
2005년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가 실미도사건 진상조사를 시작했고, 그해 11월 벽제 서울시립묘지에서 실미도 부대원 유해발굴작업을 벌여 일부 유해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유해발굴과 부대원 확인 작업까지는 마쳤지만 더 이상의 조치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아직도 의문에 싸여 있다.
동의어 684부대
참조어 북파공작원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자료 인용
1.21사태/청와대습격사건/김신조사건/실미도사건/청와대기습미수사건
'재미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산골한옥마을 탈북미녀 평양민속예술단 찔레꽃합창 (0) | 2014.01.22 |
---|---|
KCB, 전국민 ‘금융명의보호 서비스’ 무료 제공 (0) | 2014.01.21 |
#고창AI, 신속대응으로 확산 차단 #전국확산우려 (0) | 2014.01.18 |
사랑나누기 콘서트 강서구민회관 우장홀 (0) | 2014.01.17 |
미운5살 이친구가 모터쇼 최연소 레이싱모델 (0) | 2014.01.16 |